🎯 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 핵심안내
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임산부에게 소득과 무관하게 최대 300만 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진단·입원 기준만 충족하면 대부분 지원받을 수 있어 산모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.
🤝 어떤 기준으로 지원되나요?
2024년부터 소득요건이 완전히 폐지되어,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했다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산모·가정의 소득과 관계없이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지원제도입니다.
💡 지원대상·조건 정리
지원 조건은 아래 표처럼 매우 명확합니다.
| 구분 | 지원 기준 |
|---|---|
| 소득 기준 | 없음(전 계층 지원) |
| 질환 기준 |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 및 입원치료 |
| 지원비율 | 본인부담·비급여 90% 지원 |
| 최대 지원금 | 1인 최대 300만 원 |
| 의료급여수급자 | 100% 지원(최대 300만 원) |
주요 고위험 임신질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| 질환 예시 | 설명 |
|---|---|
| 조기진통 | 분만 전 진통이 조기에 발생 |
| 중증 임신중독증 | 고혈압·단백뇨 등 위험도 높은 임신질환 |
| 분만관련 출혈 | 과다출혈로 치료 필요 |
| 양막조기파열 | 양수가 분만 전 먼저 배출되는 상태 |
| 태반조기박리 | 태반이 조기에 분리되는 응급상황 |
📌 지원범위·제외항목
–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의 90% 지원
– 의료급여수급자는 전액 지원(최대 300만 원)
– 제외 항목: 상급병실료, 환자특식, 한방진료비, 의료기기 등 비의료성 비용
– 신청기한: 분만일 기준 6개월 이내
⏰ 신청기간·방법
신청은 출산 후 6개월 이내에 하면 되며, 복지로·보건소 등에서 접수 가능합니다.
필요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– 입·퇴원확인서
– 진료비영수증·세부내역서
– 주민등록등본
– 입금계좌 사본 등(지자체별 상이 가능)
🚀 이렇게 신청하세요
① 분만일 기준 6개월 이내 준비
② 입원 관련 서류·영수증 수령
③ 복지로 또는 보건소 방문·온라인 신청
④ 심사 후 계좌로 지원금 지급
❓ 자주 묻는 질문
Q1. 소득이 높아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A1. 네. 소득기준이 폐지되어 전 계층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Q2. 입원치료 기간 제한이 있나요?
A2. 제한은 없으며, 입원 진료비 중 지원 대상 항목만 인정됩니다.
Q3. 비급여 진료도 지원되나요?
A3. 네. 비급여 포함 90%(의료급여수급자 100%)까지 지원됩니다.
Q4. 어디서 정확한 질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나요?
A4. 복지로·보건소·지자체 공고에서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